View
반응형
변수의 종류(var, const, let)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변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var a;
위는 a라는 변수를 선언한 상태.
변수를 선언하고 아무 값도 할당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undefined라는 초기값을 가진다.
- null - 변수에만 할당할 수 있는 값이며 비어있음을 뜻한다. '비어있음' 이라는 값이 들어있는 상태.
- undefined - 변수에 값을 주지 않은 상태.
const a;
let b;
const는 변하지 않는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한다.
반면 let은 변할 수 있는 값을 할당한다.
✔️ 변수 var 을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매개변수가 const 인지 let 인지 알기 위해서다.
또한 자동으로 호이스팅이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변수에 값 할당하기
일반적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나면 변수 안에 원하는 값을 할당할 수 있다.
const a = 5;
console.log(a); // a = 5
const a = 8;
console.log(a); // Error
위 코드는 const라는 변수 안에 5라는 숫자를 할당했다.
두 번째 코드에서는 const는 변하지 않는 값을 지니므로 위에서 이미 값을 할당했기 때문에 다시 다른 값을 할당해도 값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를 출력한다.
let a;
a = 5;
console.log(a) // 5
a = 10;
console.log(a) // 10
a = "hello";
console.log(a); // "hello"
반면에 let변수는 나중에 값을 바꿀 수 있다.
변수의 타입 확인하기 - typeof
코딩을 하다 보면 변수의 값이 문자열인지, 숫자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const hi = "100"
console.log(typeof hi); // string
typeof는 뒤에 오는 값의 데이터 타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예 ) 데이터 타입을 숫자로만 받고 싶다면?? parseInt를 사용한다.
const age = parseInt(prompt());
// prompt에 10을 입력받으면
// "10" 이라는 값을 받을 것이고 --> prompt 는 숫자를 넣어도 문자열로 입력을 받는다
// parseInt로 인해 숫자타입으로 형변환되어 출력된다.
// const age = 10
스트링 값을 넣게 되면 NaN이라는 값을 받게 된다.
(Not a Number)
반응형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uce는 숫자가 없어도 에러가 나지 않아... (0) | 2022.10.26 |
---|---|
append / appendChild 차이점 (0) | 2022.05.12 |
배열 메서드 정리 한번에 해보자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