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Variable(변수)

yeeeD 2022. 4. 28. 17:16
반응형

변수의 종류(var, const, let)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변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var a;

위는 a라는 변수를 선언한 상태.

변수를 선언하고 아무 값도 할당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undefined라는 초기값을 가진다.

  • null - 변수에만 할당할 수 있는 값이며 비어있음을 뜻한다. '비어있음' 이라는 값이 들어있는 상태.
  • undefined - 변수에 값을 주지 않은 상태.
const a;
let b;

const는 변하지 않는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한다.

반면 let은 변할 수 있는 값을 할당한다.

 

✔️ 변수 var 을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매개변수가 const 인지 let 인지 알기 위해서다.
또한 자동으로 호이스팅이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변수에 값 할당하기

일반적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나면 변수 안에 원하는 값을 할당할 수 있다.

const a = 5;
console.log(a); // a = 5

const a = 8;
console.log(a); // Error

위 코드는 const라는 변수 안에 5라는 숫자를 할당했다.

두 번째 코드에서는 const는 변하지 않는 값을 지니므로 위에서 이미 값을 할당했기 때문에 다시 다른 값을 할당해도 값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를 출력한다.

 

let a;
a = 5;
console.log(a) // 5

a = 10;
console.log(a) // 10

a = "hello";
console.log(a); // "hello"

반면에 let변수는 나중에 값을 바꿀 수 있다.


변수의 타입 확인하기 - typeof

코딩을 하다 보면 변수의 값이 문자열인지, 숫자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const hi = "100"
console.log(typeof hi); // string

typeof는 뒤에 오는 값의 데이터 타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예 ) 데이터 타입을 숫자로만 받고 싶다면?? parseInt를 사용한다.

const age = parseInt(prompt());
// prompt에 10을 입력받으면
// "10" 이라는 값을 받을 것이고  --> prompt 는 숫자를 넣어도 문자열로 입력을 받는다
// parseInt로 인해 숫자타입으로 형변환되어 출력된다.
// const age = 10

스트링 값을 넣게 되면 NaN이라는 값을 받게 된다.

(Not a Number)

반응형
Share Link
댓글
반응형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