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로 웹을 개발하면서 무조건적으로 로컬을 열어 확인하게 된다. 이를테면 Live Server, npm을 사용한다면 npm start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로컬 환경을 열게 된다. 하지만... 반응형을 고려한 웹사이트를 제작 중일 때,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궁금할 때! 그럴 때 모바일로 로컬을 여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한다. pc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모바일 환경에서 보는 것과 조금 차이가 있기 때문에 웹 개발을 할 때 실제 모바일 환경에서 어떻게 표시되는지 확인 작업은 필수라고 볼 수 있다. 그럼 어떻게 모바일로 보는데? 1. PC와 모바일이 같은 와이파이를 잡는다. 이때 와이파이든 핫스팟이든 동일한 와이파이, 핫스팟을 잡아한다. 2. PC에서 와이파이 설정창을 ..
import 경로가 신경 쓰이는 1인 리액트로 프로젝트 작업 중 import 하는 부분이 신경 쓰였다. (나만 신경 쓰이는 걸까?) 뎁스가 깊어지면 깊어질 수록 경로 참조하는 게 길어지니 너무너무너무너무 보기 싫은 것... 하지만 언제나 해결책은 있다. 찾다 보니 jsconfig.json 설정을 통해 import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jsconfig.json 가 뭐냐고 jsconfig.json란? > 해당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jsconfig.json 파일이 있으면 루트 디렉토리임을 명시. > 소스파일을 어떻게 해석하고 처리하는지에 대해서도 설정 가능. 여기서는 경로 설정만 다룰 예정이니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jsconfig.json Reference View the reference fo..
💻 mac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깃허브 리드미 상세 내용을 적을 때 파일 디렉토리 구조를 적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늘 의문이었다.🤔 이거 직접 특수문자를 사용해서 적는 건가...? 그러면 수고스럽겠는데...? 하지만 역시 일일이 적는 게 아니었다 ㅋ 놀랍게도! 바로! 터미널로! 폴더 경로를 트리구조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 잠깐! ✋ tree는 폴더 구조를 시각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트리 구조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다. 하지만 Mac 터미널에서는 이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Homebrew를 이용해야한다. 1. 명령어로 brew에서 tree 다운로드 brew install tree 2. 디렉토리 구조를 확인하고 싶은 경로에서 tree를 입력 tree 3. 결과를 보며 흐뭇해하기..
터미널 테마를 바꿔보려다 에러를 만났다. vi 명령어 숙지 미달로 일어난 초보적인 실수.. 해결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 해결방법 터미널로 swap이 발생한 파일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다음 폴더 내에 파일 리스트를 열어본다. ls -a 숨김 파일을 열어보는 명령어 파일 이름 앞에 . 이 붙으면 숨김 파일을 뜻한다. 해당 파일을 삭제하면 끝 rm -f .zshrc.swap 오류의 원인은? vi편집기에서 편집을 하고 올바르지 않은 상태로 종료할 때 나타난다. 이때 원본 파일은 그대로 있고 스왑 파일이 생성된다. 스왑파일은 .원본파일명.swp 형식으로 생성된다. 편집을 할 때 i 를 눌러서 편집하고 종료할 때 esc키를 누른 뒤 :wq를 입력해서 종료한다. vi 편집기 명령어 (일부입니당) i 입력모드 esc..